IR

홍보

보도자료

커뮤니케이션 채널

SNS

INSTAGRAM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INSTAGRAM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INSTAGRAM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콘텐츠의 선택적으로 정리된 요약

INSTAGRAM

INSTAGRAM

INSTAGRAM

표준화/특허 실적

Full 1
독서 장애인을 위한 전자책 접근성 가이드 - 제 1부: 저작지침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Reading Disabled People – Part 1: Authoring Rules
국립장애인도서관과 보인정보기술이 함께 제안하고 개발하여 TTA에 등록한 단체표준으로써 독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전자책을 읽고 활용할 수 있도록 EPUB 3 표준 규격의 전자책에 접근성(Accessibility) 기능 규격을 추가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전자책 제작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항목별로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접근성 전자책 도서 내용을 예제 코드로 포함하였으며, 각 지침과 지침의 요건을 구현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Full 2
독서 장애인을 위한 전자책 접근성 가이드 - 제 2부: 인증 심사 기준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Reading Disabled People - Part2: Criteria on Assessment for Certification
국립장애인도서관과 보인정보기술이 함께 제안하고 개발한 TTA 단체표준으로, 독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전자책을 읽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접근성 전자책(Accessible EPUB)에 대한 인증 심사 기준을 기술합니다.
제1부 저작 지침의 137개 항목을 중심으로 심사자 개인의 특징(지식 수준, 규칙 이해 정도 등), 도서 특징, 접근성 전자책 사용 경험 여부 및 익숙한 정도 등에 관계없이 인증될 수 있도록 심사 항목을 중요도에 따라 그룹화하여 제시합니다.
Full 2
전자책(EPUB) 3.2 개요 및 요구사항 (기술보고서)
EPUB 3.2 Overview and Requirement (Technical Report)
본 기술보고서는 EPUB 3.2 표준 규격에 대한 요구사항과 제작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리딩 시스템에 대한 적합성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EPUB 패키지, 접근성, 출판물 자원, 컨테이너의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EPUB 프로세싱 조건과 접근성, 상·하위 호환성, XML 처리 조건 등의 리딩 시스템을 만족시키는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범위한 출판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복합적인 레이아웃, 리치 미디어와 상호작용, 글로벌 조판 기능 등을 지원하기 위한 확장된 포맷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메뉴